안녕하세요!~ 돈버는 키워드를 연구하는 돈키:호테입니다. 우리 아버님, 어머님은 핸드폰 요금제 어떤거 쓰고 계신가요? 지난 주에 어머니 핸드폰을 보고 아주 그냥 깜짝 놀랐습니다. 어떤 요금제를 쓰고 계시나 확인해 보았더니 33,000원짜리 통신사 요금제를 쓰고 계셨습니다. 제가 놀라서 왜 이리 비싼 걸 쓰고 있냐고 물었더니 "그래도 할부 끝나서 많이 할인해준거라던데" 라고 말씀하셔서, 아주 그냥 더 크게 놀랐습니다. 전화도 거의 안하시고 인터넷도 거의 안하시거든요.인터넷도 집에 있는 와이파이를 쓰십니다. 아버지도 그런가? 하고 보니 아버지의 경우는 아예 핸드폰을 거의 안쓰시는데도 똑같이 33,000원 요금제를 쓰고 계시네요. 돈없다고 아끼시는 분들이 통신비는 줄줄 새고 있어서, 안되겠다 생각하여 제가 출동했습니다.
알뜰폰요금제비교
다른게 불효가 아니라 이런게 불효구나하고 생각했습니다. 나살자고 바빠 부모님 돈 새는 줄도 모르고 있었네요. 부랴부랴,인터넷에 접속해서,알뜰폰 사이트에 들어가서 유심을 구매하기 위해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부모님의 통신 사용 습관에 따라 확인하면 됩니다. 어머니는 친척들이나, 이웃들에게 전화를 많이 하시고 인터넷은 거의 집에서만 하시니,통화는 무제한으로 가능한 통화 맘껏 1.5GB: 6,600원 요금제를 선택하였습니다. 아버지는 전화를 거의 사용 하시지 않지만 가끔 외부에서 인터넷을 보거나 유튜브를 시청하십니다. 그래서 통화료는 제한이 있고, 기본으로 제공하는 데이터를 다 사용을 하더라도 비용이 들지 않는 데이터 맘껏 안심 1GB+/100분: 8,850원 요금제로 선택해 드렸습니다. 그래서 기존 6만6천원 정도 들어가던 비용을 1만 5천원 정도로 4배 이상 절약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알뜰폰 요금제에 대해서 알고 계실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큰 오판이었습니다. 이 글을 보시고 아직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고 계신 부모님이 계시거나, 비싼 통신비를 사용하고 계신분이 있다면 바로 변경 하여 사용 하기를 추천드립니다. 비슷한 사용량이지만 비용은 아주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직접 변경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자녀 분들이나 주위 분들에게 부탁하십시오.
알뜰폰요금제란?
요즘 통신비를 아끼기 위해 많은 분들이 알뜰제 요금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만, 어르신들 중에는 아직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수 있으니, 알뜰폰 요금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동통신망사업자 SKT, KT, LG U+의 네트워크를 빌려, 이용자에게 자체 브랜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대기업이 만들어 놓은 통신 환경을 빌려다가 중/소 기업이 제공하는 것이지요. 최근 알뜰폰 고객 유치 경쟁은 부쩍 치열해졌습니다. 일정 기간 무료인 0원 요금제, 평생 저렴한 평생 요금제에 이어, 월 1만 원 이하의 5G 요금제까지 등장했습니다. 국내 알뜰폰 이용자는 올해 1,300만 명을 넘어섰고, 지난달에만 십일만명이 알뜰폰으로 갈아탔습니다. 이같은 파격적인 요금 할인은 역설적으로 이동통신사 3사의 지원 때문입니다. 알뜰폰 업체에 망을 빌려주고, 사용료를 받는 SKT와 KT, LGU+ 통신사들이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보조금을 주고 있는 겁니다. 다만 이같은 할인 경쟁이 길게 이어질 지는 모르겠다고 합니다. 그러니 빨리 가입하셔서, 비용을 아끼시는게 남는 것입니다.
오늘은 부모님을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하여 비용을 절약한 내용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구요!~다음에는 더 도움이 되는 정보로 찾아 뵙겠습니다.
돈버는 키워드에 돈키:호테 였습니다.
올라가세요!~
'OUR: 돈 버는 키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지원사 자격증, 급여, 채용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20 |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과 앱, 지급조건, 카드 발급 (0) | 2023.07.18 |
KBS 수신료 분리 징수, 분리 징수 신청 방법 알려드립니다! (0) | 2023.07.17 |
온라인 셀러의 시작? 위탁배송과 구매대행 그리고 사입과 브랜딩 (0) | 2023.07.14 |
숙박업이란? 숙박업의 정의와 시설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