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분들이라면 모두 공감하실 내용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연봉은 잘 받는 것 같은데, 왜 월급을 받으면 남는 게 없을까 의문스러운 생각이 들 것입니다. 그 이유는 본인이 수령하고 있는 월급과 실수령액을 꼼꼼히 잘 따져 보아야 이해가 될 것입니다. 우리가 받는 월급은 납부하는 세금을 제하고 받는 급여이기 때문에 어느 정보의 금액이 세금으로 나가는지 알게 되면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급여 계산기를 사용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직장인 세금의 종류와 월급세금계산기로 실수령액을 계산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인 세금의 종류
직장인이 월급을 받으면, 즉 근로소득이 발생하게 되면 나라에 세금과 4대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월급을 받으면 회사에서 급여 명세서를 받으실 텐데, 공제 내역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이 중 세금을 자세히 살펴보면, 국세인 소득세와 지방세인 지방 소득세로 구분이 됩니다. 각각 세무서와 지방 자치단체에서 가져갑니다. 그리고 4대 보험의 경우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이를 관리하는 공단에서 세금을 가져갑니다.
1) 근로소득에 따른 소득세
월급을 받는 직장인은 근로에 대한 근로 소득세를 받게 됩니다. 소득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소득세도 같이 발생합니다. 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부과되고, 이는 소득과 부야가족의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주십시오.
https://teht.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sf/a/a/UTESFAAF99.xml
국세청 홈택스
teht.hometax.go.kr
지방소득세는 예전에는 주민세라고도 불렀는데, 소득의 일부분을 지자체에 납부하는 것입니다. 지방소득세의 경우는 소득세의 10%를 별도로 납부하게 되어 있습니다.
2) 사회보험
월급명세서에서 쉽고 볼 수 있는 4대보험입니다. 사회보험은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 보장을 위해 국민들을 의무적으로 가입시키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그리고 회사에서 전액 보장하고 있어서 명세서에 표시되지 않는 산재보험을 포함하여 흔히 이야기하는 4대 보험이 됩니다.
월급세금계산기
아르바이트 월급, 연봉협상 등을 하면서 편하게 월급을 계산하기 위해 월급세금계산기가 있습니다.본인의 월급과 퇴직금, 부양가족을 선택, 비과세액까지 내용을 입력하시면 결과를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월급세금계산기를 검색창에서 검색을 하시면 여러 가지가 네이버와 인쿠르트 연봉 계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의 월급세금계산기의 사이트 주소입니다. 연봉과 부양가족수 등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4대보험과 세금 공제된 월 실수령액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급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시급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인쿠르트에서도 실수령액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와는 다르게 퇴직금 포함 여부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인쿠르트의 월급세금계산기의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s://lab.incruit.com/editor/salary/
연봉계산기 |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 인크루트
연봉계산기 - 연봉/ 월급으로 4대 보험과 세금을 제외, 퇴직금 별도/포함한 실수령금액을 인크루트에서 간편하게 계산하세요.
lab.incruit.com
실수령액 계산하기
마지막으로 네이버 월급세금계산기를 사용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하여 보겠습니다. 우리가 계산할 것은 월급 기준이므로, 월급으로 선택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비과세액(자동기입됩니다.), 부양가족수(본인포함), 20세 이하 자녀수 항목을 입력하면 실수령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월급 3백만 원 기준으로 계산하면 단 1초 만에 계산해 줍니다. 너무 간단하고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결혼을 하고 20세 미만의 자녀 1명이 있을 경우, 비과세액은(식대)로 10만 원 고정이고, 부양가족 수는 나를 포함하여 3명, 20세 미만 자녀 1명으로 입력한다면, 과세 항목별로 모두 계산되고, 4대 보험과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까지 계산되어 나옵니다. PC나 모바일에서 검색만 하면 아주 간편하게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월급이 왜 이렇게 작지?라고 의문을 가지고 있으신 분들은 한 번쯤은 확인하시기를 추천합니다.
'OUR: 돈 버는 키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최저임금은 얼마? 최저월급, 연봉 실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05.25 |
---|---|
주식투자에 필요한 경제지표 GDP, 실업률, CPI, 경상수지,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24 |
토지대장이란? 발급, 무료열람, 토지매매시 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23.05.22 |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발급방법, 등록조건, 혜택 알아보기. (0) | 2023.05.21 |
실업급여부정수급 적발, 수급기준, 신청방법과 사례 알아보기. (0) | 2023.05.20 |
댓글